2012-09-06

Linux] 리눅스-윈도 간 원격 터미널 접속 방법 총정리


http://kldp.org/node/85900

kldp에 있는 링크입니다.

도움이 되길 바라며.

Linux]리눅스 유용한 링크모음



 
** http://www.superuser.co.kr           -- 수퍼유저코리아 네트워크

** http://www.kldp.org        -- 한국 리눅스사용자모임

** http://sourceforge.net/   -- sourceforge.net 사이트

**http://www.linux.org/  -- linux.org

** http://www.debian.org/  -- 데비안

** http://coffeenix.net/  -- 커피닉스

** http://www.openphp.com/  -- openphp.com

** http://www.optro.co.kr/~silpapa/  --실이아빠네

** http://www.linuxfreebsd.com/ork/index.php  -- 자유를 위한 비상, 리눅스 프비

** http://www.whangun.net/index.php  -- 환건님의 사이트

Linux]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와 파티션 관리의 기본



 GNU/Linux 디렉토리 구조 (Redhat 계열) 
   * 명령어 : ls -al /  
   - 레드햇 계열의 디렉토리 구조는 다음과 같다.

  /               루트 디렉토리
  /bin           가장 필수적인 실행명령
  /boot         커널,LILO 등 부팅에 관련된 파일
  /dev          장치파일
  /etc           시스템 전체 설정파일
  /home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lib            C 라이브러리 등 가장 필수적인 공유 라이브러리
  /mnt           임시 마운트용 디렉토리
  /proc         시스템 정보를 위한 가상적인 디렉토리
  /root          루트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sbin          시스템 관리용 실행파일
  /tmp           임시 파일 생성용 디렉토리
  /usr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디렉토리
  /var           시스템 운영중 생성되는 각종 임시 파일

2. 각 디렉토리들
  1) /         근 원이 되는 뿌리로 구체적인 파티션에 대한 정의
        가 없는 경우 루트 디렉토리에 포함 되어진다.

  2) /bin
        실 행파일들이 놓여있는 디렉토리로 부팅에 과정에서 필요하고 부팅후에도 일반
        사용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이 있다. 각종 쉘 프로
        그램 및 리눅스 기본 명령어들이 포함되어 있다.
        가 장 기본이 되는 명령어들이 있는 디렉토리이므로 이곳에 있는 명령어들은

        숙달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 명령어: ls -la /bin | more

         한후 다른 한텀이나 xterm을 띄워

        * 명령어: man 명령어이름
          명령어 사용법을 알아 두어야 한다.


  3) /boot         GNU/Linux 에서 Linux( 리눅스 커널 )이 위치하는 디렉토리 이다.
        부팅 이미지, 시스템 맵, 모듈 정보, 리눅스 커널등이 있다.

        # ls -al /boot       
  4) /dev
        리 눅스에서는 모든 장치들이 하나의 파일로 간주한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들도 하나의 파일처럼 간주되고 그렇게 사용된다.
        다만 그것에 대하여 장치 파일처럼 놓는 통신포트,프린터 포트,터미널 장치처
        럼 한번에 한바이트씩 자료가 오가는 단방향의 순차적인 접근만 할 수 있는 장
        치이며, 블록 장치는 디스크,시디롬으로 원하는 부분만을 읽어들일 수 잇는 양
        방향의 랜덤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블 록 장치는 버퍼링을 하는데, 읽기 버퍼링의 경우는 캐쉬 메모리처럼 이미 읽
        은 내용을 메모리에 보관하고 있다가 요청이 있을 때마다 보여준다.
        쓰기 버퍼링의 경우에는 일종의 스풀링 기능처럼 일정시간 혹은 일정량을 모아
        두었다가 한꺼번에 작업을 한다.

        그렇게 함으로 해서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유닉스를 기반으로 하는 리눅스에서는 모든 하드웨어에 대하여 각각의 파일명
        을 가지고 있으며, 이 파일들은 /dev 디렉토리에 놓여있다.
        이 파일들을 mknod나 /dev/MAKEDEV 라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만들수 있다.

        brw-rw---- 1 root    disk   3,    1 May    6    1998   hda1

        퍼미션 앞에 있는 문자 b는 불록 장치임을 의미하며, c는 문자 장치를 나타낸다
        Disk 다음에 나오는 번호는 장치 파일의 고유속성값인 메이저 번호이며, 파일
        명의 끝에 붙어있는 숫자는 마이너 번호이다.
        IDE 하드디스크의 장치 파일은 마이너 번호 3번으로 시작하며, SCSI 하드디스크 
       의 장치 파일은 8번으로 시작한다.
         이 번호들은 고유 번호로 임의로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없다.

        /devfd0 :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dev/hda : 첫 번째 마스터 IDE 드라이브
        /dev/hdb : 첫 번째 슬레이브 IDE 드라이브
        /dev/hdc : 두 번째 마스터 IDE 드라이브
        /dev/hdd : 두 번째 슬레이브 IDE 드라이브

        /dev/sda : 첫 번째 SCSI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dev/st0 : 첫 번째 SCSI 테이프 드라이브
        /dev/scd0 : 첫 번째 SCSI 시디롬 드라이브

        /dev/mouse : 마우스
        /dev/psaux : PS/2 마우스
        /dev/ttyS0 : COM1 포트

  5) /ETC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각종 설정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가장 중요한 디렉토리 중 하나이다.
        제일 중요한 파일들로소는 사용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인 passwd(쉐도우
        파일 시스템에서는 패스워드가 shadow 파일에 따로 놓인다.)
        그 룹 정의 파일인 group, 프린터 목록 파일인 printcap, 자동 마운트 될 파일
        시스템을 등록해 두는 파일 시스템 테이블 파일인 fstab, 그리고 각종 네트웍
        관련 파일들이 있다.

        /etc/fstab
        리 눅스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디스크 및 마운트 할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가 들
        어있는 파일이다.
        fstab 의 설정에 따라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할 디렉토리들이 결정되게 된다.
        만일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추가하고 이를 리눅스에서 사용하고자 한다면 fstab
        에 등록해야만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 할수 있다.

        /etc/inittab
        시 스템의 런레벨을 지정하는 파일이다.

        /etc/issue         로그인 시 'login:' 프롬프트 바로 위에 나타나는 메시지를 가지고 있는 파일
        이다.
        당연히 issue 파일을 수정하면 원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다음에 부팅해보면 다시 이전의 기본값으로 변경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수정하려면 /etc/rc.d/rc.local 파일 후반부의 issue 파일 생성스크립트
        를 모두 주석처리하거나 삭제해주면 된다.

      
/etc/login.defs         login 명령에 대한 설정 파일.

        /etc/motd
        issue와 비슷한데 issue가 로그인 전에 나타나는 메시지에 비해 motd는 로그인
        직후 나타나는 메시지이다.

        /etc/mtab
        현 재 마운트되어 있는 파일시스템의 목록. 처음에는 초기화 스크립트에 의해
        설정되고 mount명령에 의해 자동으로 갱신된다.

        /etc/rc.d or /etc/rc.?.d 디렉토리
        처음 시스템이 시작될 때나 런 레벨이 변경될 때 실행 되는 스크립트 또는 스
        크립트들이 들어있는 디렉토리이다.

        /etc/magic
        file 명령을 위한 설정 파일. 이 파일은 file이 어떤 파일의 타입을 추측할때 증거가
        되는 여러 가지 파일 형태에 대한 기술을 담고 있다.

        /etc/securetty
        root의 접속이 허용되는 터미널(secure terminal)을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가
        상콘솔만이 목록에 들있어서 모뎀이나 네트웍을 파고 들어서 슈퍼유저의
        권한을 획득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거나 아주 어렵게 만든다.

        /etc/shells
        신 뢰성 있는 쉘의 목록. 일반 사용자는 chsh 명령으로 로그인 쉘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때 여기에 기록되어 있는 쉘만이 가능하다. FTP서버 데몬인 ftpd는
        사용자의 쉘을 검사해서 만일 /etc/shells에 나와있지 않은 쉘이라면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다.

        /etc/termcap
        터 미널의 특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파일. 여러종류의 터미널들이 어떤 escape
        코드에 의해 제어되는지를 나타낸다. 프로그램들은 직접 escape코드를 출력해
        서 특정한 타입의 터미널에서만 작동하도록 만들어지는 대신 적절한 코드를
        /etc/termcap에서 찾도록 짜여진다. 그러면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모 든 종류의 터미널에서 작동할수가 있게 된다.

  6) /home
        별다른 의미가 없는 디렉토리로 일반적인 리눅스에서는 사용자들의 홈디렉토리
        들을 위치시키는데 사용한다.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므로 각 사용자의 자료가 뒤죽박죽 섞이지 않도록 모든
        사용자는 자신만의 공간을 갖고, 자료파일은 모두 그곳에 두도록 한다.
        물론 디스크 구조에 따른 다른 디렉토리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레드햇 기반의 리눅스에서는 홈디렉토리를 ftp,httpd 등의 네트워크 서비스의
        공용 홈디렉토리로 사용하고 있다

  7) /lib
        일 반적인 리눅스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공용라이브러리 파일들이 위치한 곳이다.
        실수로 파일들을 지우지 않아야 한다.
        C 라이브러리 같은 경우 시스템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을 것이다.
        이 디렉토리에는 다음과 같이 라이브러리 파일과 그 라이브러리 파일을 가르키
        는 심볼릭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파 일은 라이브러리 이름과 버전 그리고 .so(shared Object)라는 문자로 구성되
        어 있다.
        윈도우에서의 DLL과 같은 기능의 파일이다.
        cpp@ libext2fs.so.2.4* libnss_nis.so.2@
        ld-2.1.1.so* libm-2.1.1.so* libnss_nisplus-2.1.1.so*
        ld-linux.so.1@     libm.so.6@   libnss_nisplus.so.2@

        ld 로 시작하거나 libdl 로 시작하는 파일들은 프로그램들이 실행될 때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알맞게 찾아서 메모리에 올려주고 연결해 주는 로더이다.
        이미 메모리상에 존재하는 공유 라이브러리를 메모리에 중복해서 올릴 필요없
        이 같이 사용할 수 있어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특수한 프로그램들은 공유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고 모든 기능
        을 다 포함시켜 놓은 경우가 있는데 이런 프로그램들을 정적 컴파일 되었다고
        한 다.
        정적 컴파일된 라이브러리는 당연히 파일 크기 자체도 크며, 모든 기능을 자체
        적으 로 갖고 있기 때문에 메모리 손실이 크다.
        어떤 프로그램이 어떤 라이브러리와 동적링크가 되어 있는지는 ldd 명령을 사
        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명령을 했을 때 나타나는 메시지에서처럼 라이브러리가 하나라도
        없으면 그 명령은 실행되지 않는다.

        # ldd /bin/cp
             lib.so.6 => /lib/libc.so.6 (0x4001a000)
        /lib/ld-linux.so.2 = > /lib/ld-linux.so.2 (0x40000000)

  8) /mnt         디스크,CD-ROM, floppy등을  마운트 할 경우 기본적으로 적재할 위치로 사용된다.
        그러나 굳이 /mnt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ls -la /mnt         cdrom
        floppy
        smb
        nfs


  9) /proc 
        파일시스템은 가상적인 파일시스템을 담고 있다. 이것은 디스크상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대신에 커널에 의해 메모리상에 생성되며,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용된다.(원래는 프로세스에 관한 정보였으며 그 이유로 /proc이라 이름붙여졌다.)
        여러 파일과 디렉토리들 중 중요한 것들에 대해서 아래에 설명한다.
        /proc 파일시스템에 대한 더 상세한 내용은 proc 매뉴얼 페이지를 참고하라.

        /proc/1
        1번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가진 디렉토리. 각각의 프로세스는 /proc 아래에
        해당 프로세스 번호에 해당하는 이름의 디렉토리를 가진다.

        # cat /proc/1/status 
        /proc/cpuinfo
        타입, 제조사, 모델, 성능 등 프로세서에 관한 정보.

        # cat /proc/cpuinfo         processor       : 0 
        /proc/devices
        현재 동작중인 커널에 설정되어 있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목록. 
        # cat /proc/devices 
        /proc/dma
        지금 현재 어떤 DMA 채널을 사용중인지 보여준다.
        # cat /proc/dma 
        /proc/filesystems
        커널에 설정되어 있는 파일시스템들.

        # cat /proc/filesystems 
        /proc/interrupts
        어떤 인터럽트가 사용중이고 각각의 인터럽트가 얼마나 사용되었나를 보여준다

        # cat /proc/interrupts 
        /proc/ioports
        현재 어떤 I/O 포트가 사용중인지 보여준다.

        # cat /proc/ioports 
        /proc/kcore
        시스템의 실제 메모리에 대한 이미지. 이것의 크기는 메모리의 크기와 정확히
        같 지만 메모리를 억세스할 때에만 생성되므로  실제로 그렇게 많은 메모리를
        차지하지는 않는다(만약 다른곳으로 복사하지 않는다면 /proc 아래에 있는 것
        은 디스크 공간을 전혀 차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상기하라).

        ** 절대 출력 하지 말것 - 책임 못짐 **

        /proc/kmsg
        커널이 출력하는 메시지.  시스템 호출 syslog도 이것들을 보여준다.

        /proc/ksyms
        커널의 심볼 목록.

        # cat /proc/ksyms | tail -20 
        /proc/loadavg
        시스템의 평균적인 부하; 순간 시스템이 얼마의 일을 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세 개의 지표로 표시된다.

        # cat /proc/loadavg 
       
        /proc/meminfo
        실 제 메모리와 스왑 메모리의 사용량에 대한 정보.

        # cat /proc/meminfo 
       
        /proc/modules
        현 재 어떤 커널 모듈이 로드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 cat /proc/modules 
       
        /proc/net
        네 트웍 프로토콜의 상태에 대한 정보.

        # ls  /proc/net/
       
        /proc/self
        /proc 을 억세스하는 프로그램의 프로세스 디렉토리에 대한 심볼릭 링크. 두 개
        의 프로세스가 /proc에 접근하면 각각은 서로 다른 링크를 갖게 된다. 이것은
        주로 프로그램이 자신의 프로세스 디렉토리에 쉽게 접근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 ls  /proc/self/ 
        /proc/stat
        시스템이 부팅된 이후 발생한 페이지 폴트의 횟수와 같은 시스템에 관련된 여
        러 가지 통계 자료. 
        # cat /proc/stat 
        /proc/uptime
        시스템이 작동해온 시간.

        # cat /proc/uptime 
        /proc/version
        커널 버전.

        # cat /proc/versio
        이것 외에도 많은 시스템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위의 파일들은 텍스트 파일이므로 그냥 읽을 수 있지만 어떤 경우에는 쉽게 이
        해할 수 없는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런 경우 해당 파일을 읽어들여서 새로 포맷
        하는 명령을 이용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명령어 free는 /proc/meminfo를 읽어서 바이트로 주어진 용량을 킬
        로바이트로 변환한다(게다가 약간의 정보를 추가하기도 한다).

  10) /sbin
        관리자의 권한에서만 실행할 수 있는 명령들로 파일시스템 처리 명령,네트웍
        인터페이스 설정 명령,시스템 초기화 명령,커널 모듈 관리 등 주로 시스템 관
        리 에 필요한 명령들로 놓여 있다.


  11) /tmp
        수많은 프로그램들이 작업을 위해 임시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존재하는 디렉토
        리이다. 시스템에서 관리하면 일반 사용자들도 파일 생성이 가능하다.

  12) /usr
        일 반적으로 사용하는 명령어와 메뉴얼, 사용자들을 위한 각종 환경 설정과 X11
        R6를 비롯한 여러가지 프로그램들이 위치하는 곳으로 루트디렉토리 만큼 많은
        디렉토리를 가지고 있다.

        # ls /usr/
        X11R6/  dict/  etc/    i386-accel-linux/  include/  kde/  libexec/
        lost+found/  sbin/   src/        bin/    doc/   games/  i486-linux-libc5/
        info/     lib/  local/    man/         share/  tmp@

        /usr/X11R6
        X 윈도우 시스템의 모든 파일들. X의 개발과 설치를 단순화하기 위해 X의 파일
        들은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들과는 분리되어 있다. /usr아래에 있는 디렉토리와
        유사한 구조가 /usr/X11R6 아래에도 있다.

        /usr/X386
        /usr /X11R6과 비슷하나 X11R5에 해당한다.

        /usr/bin
        대부분의 사용자 명령어. 몇몇 명령어들은 /bin이나 /usr/local/bin에 있다.

        /usr/sbin
        시 스템이 부팅되고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관리 명령을 제외한 데몬들이
        위치하고 있다.

        /usr/include
        C 라이브러리 및 각종 추가 라이브러리의 헤더 파일이 놓여 있다.

        /usr/lib
        /lib 에 들어 있는 라이브러리를 제외한 라이브러리들이 들어있다.
        /usr/bin의 실행 라이브러리에 동적 링크된 라이브러리가 들어있다.

        /usr/src
        커널 소스가 들어있는 디렉토리이다.

        /usr/doc, /usr/info,/usr/man         how-to 및 man page 등의 문서파일이 들어있다.

        /usr/local
        시 스템에 관련된 프로그램들이 아닌 사용자가 소스를 가져다 컴파일한 프로그램들이
        설치되는 공간이다.

  13) /var 
        시 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수시로 변경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것은 각 시스템마다
        달라서 다른 컴퓨터와 네트웍을 통해 공유되거나 하는 일은 없다.

        /var/catman
        포맷된 매뉴얼 페이지가 저장되는 곳. 매뉴얼 페이지의 소스는 보통 /usr/man/
        man*에 있다; 일부의 매뉴얼 페이지는 /usr/man/cat*에 미리 포맷된 형태로 제
        공되기도 한다. 그외의 매뉴얼 페이지들은 처음 사용자가 불러서 볼 때 포맷이
        되며 이렇게 포맷된 것들은 /var/man에 저장되어서 다음에 볼 때에는 포맷되기
        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var/catman의 파일들은 흔히 임시 디렉토리들의 내용
        이 삭제되는 것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삭제된다.)

        /var/lib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변경되는 파일들.

        /var/local
        /usr /local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변동하는 데이터.
        /var/lock과 같은 적당한 곳이라면 /var아래의 다른 디렉토리도 사용될수 있다

        /var/log         시 스템의 로그가 쌓이는 곳이다. 이곳은 상당히 중용한 곳으로 유심히 보아야 할
        디렉토리이다.

        # ls /var/log/ 
        /var/log/boot.log
        부팅시 시작된 데몬들에 관한 정보가 들어 있습니다.

        # cat boot.log | tail -10 
       
        /var/log/cron
        크 론의 메시지를 기록한다.

        # cat /var/log/cron | tail -10 
       
        /var/log/dmesg
        부 팅시 컴퓨터 초기화부분의 메세지가 기록며, 마지막 부팅함 메시지를 담고 있다.
        LiLo: 부분 나온 다음 부터 서비스 데몬 시작하기 전까지의 메세지가 기록된다.
        bootup 메세지가 기록되므로 시스템이 부팅시 에러 유무를 확인 할수 있다.


        # cat /var/log/dmesg |  head -10       
        # cat /var/log/dmesg |  tail -10 
        /var/log/secure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모든 기록이 저장되는 화일이다. 
        # cat /var/log/secure | tail -10 
        /var/log/spooler
        메일이나 뉴스 로그 화일이다.

        /var/log/statistics
        센 드메일에서 사용하는 로그 화일이다.

        /var/log/xferlog         ftp 엑세스 로그 화일이다. 
        # cat /var/log/xferlog | tail -5 
        /var/log/htmlaccess.log
        아피치의 웹 엑세스 로그 화일로 rpm으로 설치시 여기에 엑세스 로고가  쌓인다.
        /var /log/httpd/와 더불어 아파치와 관련된 로그 화일이다.

        /var/log/maillog
        센 드메일의 로그 화일로 사용자가 메일관련해서 접속할 경우 이 화일에 기록된다. 
        # cat /var/log/maillog | tail -3 
        /var/log/wtmp
        로기한 사람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화일 이다. 현재의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사 람의 정보를 담고 있다.
        last와 lastlog 라는 명령어로 화일의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화 일 타입은 data 이므로 이것을 cat 해보면 아마도 후회 할것이다. 
        # file  /var/log/wtmp
        /var/log/wtmp: data


        /var/log/lastlog
        마지막에 로긴한 사람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 cat /var/log/lastlog  하지 말것 **
        화일 타입은 아스키 화일인데 깨짐.ㅡ.ㅡ)

        /var/log/messages
        시 스템의 이상 유무에 관련있는 로그 화일로 시스템의 이상유무를 파악 할 수 있다.

        # cat /var/log/messages | tail -5 
        /var/log/netconf.log
        netconf 명령어를 수행 후에 나타나는 로그 화일이다.

        # cat netconf.log 
        /var/log/maillog         센드 메일 엑세스 로그 화일이다.

        # cat /var/log/maillog | tail -5 
        /var/run
        다 음번 부팅때까지 유효한 시스템에 관련된 정보를 담은 파일들.

        /var/run/utmp
        현 재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가 들어있다.

        ** cat /var/run/utmp 하지 말것 **

        화일 타입은 data 이므로 이것을 cat 해보면 아마도 후회 할 것이다. 
        # file  /var/run/utmp
        /var/log/wtmp: data

        그외에 서버의 프로세스 id가 기록되어 있다. 
        # ls /var/run/ 

        /var/spool         메 일, 뉴스, 프린터 큐, 그밖의 대기 작업(queued work)을 위한 디렉토리들.
        각각의 스풀은 /var/spool 아래에 서브디렉토리를 가지고 있어서 일례로 사용

        /var/spool/mail
        사 용자에게 온 메일을 보관하는 디렉토리이다.



3. 파일 시스템 마운트 테이블(/etc/fstab)
        fstab에는 시스템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되어야 할 항목과 옵션이 들어 있다.
        자동 마운트 기능 외에도 마운트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옵션들이 존재한다.

        /dev/hda1       /           ext2    defaults        1 1
        /dev/hdb1       /home   ext2     defaults        1 2
        /dev/hda6       /users   ext2    defaults        1 2
        /dev/hda5       /usr      ext2     defaults        1 2

Linux] 리눅스 날려버린 파티션 복구


  출처 : 리눅스사랑넷

          http://linux-sarang.net/board/?p=read&table=tip&no=7114

          --------------------------------------------------------------------------------
          2129번: 날려버린 파티션정보 복구

          글쓴이: codefish    글쓴날: 2002-08-18 10:59:31    읽은수: 2525
          --------------------------------------------------------------------------------


          모두 아실지 모르겠지만 모르시는 분들께
          도움이 됐으면 해서 씁니다
         

          제가 실수로 파티션을 날렸었습니다
          원래 리눅스가 /dev/hda9에 깔려 있었는데
          어찌어찌해서 다시 파티션 밀고 다시 깔려고 하다
          실수로 날렸습니다 -_-

          아무튼 gpart란 프로그램이 있더군요
          이미 kldp에 미니메뉴얼도 번역돼있고요

          gpart : http://www.stud.uni-hannover.de/user/76201/gpart/
          미니메뉴얼 : http://gnome.kldp.org/HOWTO/mini/html/Partition-Rescue-mini-HOWTO/Partition-Rescue-mini-HOWTO-8.html

          미리 gpart를 다운받아 하드나 플로피에 저장합니다
          다음 리눅스 씨디로 복구모드(linux rescue)로 부팅후

          gpart가 있는 드라이버를 마운트후 실행을

          ./gpart /dev/hda

          와 같이 실행하면

          기존 파티션 정보가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Begin scan...

          Possible partition(DOS FAT), size(3999mb), offset(0mb)

          Possible extended partition at offset(4000mb)

          Possible partition(Windows NTFS), size(3999mb), offset(4000mb)

          Possible partition(Linux ext2), size(3072mb), offset(8000mb)

          Possible partition(Linux ext2), size(3072mb), offset(11072mb)

          Possible partition(Linux ext2), size(3072mb), offset(14144mb)

          Possible partition(Linux ext2), size(2353mb), offset(17216mb)

          End scan.

         

          Checking partitions...

          Partition(DOS or Windows 95 with 32 bit FAT): primary

          Partition(OS/2 HPFS, NTFS, QNX or Advanced UNIX): logical

          Partition(Linux ext2 filesystem): logical

          Partition(Linux ext2 filesystem): logical

          Partition(Linux ext2 filesystem): primary

          Partition(Linux ext2 filesystem): primary

          Ok.

         

          Guessed primary partition table:

          Primary partition(1)

          type: 011(0x0B)(DOS or Windows 95 with 32 bit FAT)

          size: 3999mb #s(8191953) s(63-8192015)

          chs: (0/1/1)-(1023/15/63)d (0/1/1)-(8126/15/63)r

         

          Primary partition(2)

          type: 005(0x05)(Extended DOS)

          size: 10144mb #s(20775888) s(8192016-28967903)

          chs: (1023/15/63)-(1023/15/63)d (8127/0/1)-(28737/15/63)r

         

          Primary partition(3)

          type: 131(0x83)(Linux ext2 filesystem)

          size: 3072mb #s(6291456) s(28967904-35259359)

          chs: (1023/15/63)-(1023/15/63)d (28738/0/1)-(34979/8/24)r

         

          Primary partition(4)

          type: 131(0x83)(Linux ext2 filesystem)

          size: 2353mb #s(4819248) s(35259840-40079087)

          chs: (1023/15/63)-(1023/15/63)d (34980/0/1)-(39760/15/63)r

         

          Now if after the check-phase it says Ok, you should check the proposed partition table

         

          제가 해보니 기존것과 일치해서
          바로 ./gpart -W /dev/hda /dev/hda
          로 파티션 생성후
          다른 하드로 부팅하니 c드라이브 빼고
          모두 액세스가 가능했습니다 ^^;
          이렇게 기쁠수가...

         

          c드라이브는 제가 살려보겠다고 윈98로 부팅후
          fdisk/mbr 한게 완전 날린거 같습니다
          여러분도 파티션 날리면 절대 손대지 마시고
          우선 이걸로 복구해보시 바랍니다
          그럼..

         

         

          http://linux-sarang.net/board/?p=read&table=tip&no=7130

          --------------------------------------------------------------------------------
          2129번 글의 답장글: 저도 초보라 이렇게 해보세요
          글쓴이: codefish    글쓴날: 2002-08-19 19:22:40    읽은수: 575

          --------------------------------------------------------------------------------

         

         

          사실 저도 초보인지라 정확한 답변드리기가 힘든데요
          혹시 lilo.conf편집후 다시 lilo를 실행하셨는지 궁금하네요


          우선 제 珝♧〈?게임방같은데서 디스켓에 gpart를 다운받으신후
          집에 가셔서 리눅스 CD로 부팅후 디스크 드라이브 마운트 후
          gpart를 실행해보시는게 좋을 거 같은데요
          아마 파티션 정보가 제대로 나올지 않을까 싶네요...
          제대로 나오면 아직 파티션은 살릴수 있으니 fdisk/mbr등은
          절대 하지마시기 바랍니다

          만약 제대로 나오지 않으면 좀 더 많은 작업이 필요할 듯 하고요
          우선 lilo 다시 실행해보시는게 좋을 거 같네요...


          도움이 못되드려 죄송하군요
         

          그리고 final data ntfs 써봤는데 좋더군요
          이메일 주세요

          그럼..

         

         

          : 안녕하세요?...
          :
          : 정말 믿어지지 않는 상화이 이러났습니다. 지금은 원인조차도 파악을 못하고
          :
          : 있는상황인데요... 사건의 전말은... 아래에 제가 2일동안 올렸던글을 읽어보
          :
          : 시면 조금더 확실하게 아실수 있겠는데 간단하게 말씀을 드리면 W2K와 Linux를
          :
          : 같이 사용하고자 Linux(Paran 7.1)를 설치하고 LILO를 설정/실행하는 과정에서 이상하게
          :
          : 계속 이상하게도 lilo 부트메니저에서 Win 을 선택해도 계속 선택화면으로
          :
          : 루핑되는게 이상해서 설마... 싶이서 제가 가지고 있는 복구용 부팅CD
          :
          : 로 부팅해서 Norton Ghost로 Disk상황을 봤는데.........
          :
          : hda에 있던 NTFS 파티션 2개 (20% / 80%)는 사라지고 그자리에
          :
          : 8G짜리 Fat16짜리 파티션만 하나 둥그러니... 남아있네요...
          :
          : LILO설정과정중에서 파티션관련작업은 전혀 한적이 없기에 지금도 너무
          :
          : 황당하게 생각하고 또 원인조차도 찾지를 못하고 있습니다. 제가 했던
          :
          : 작업은 1. lilo.conf파일 편집후 lilo 실행후 리붓
          : 2. dd if=./bootsect.lnx ~~~~~(전에 backup해뒀던 부트이미지돌리기)
          : 3. linux 배포판 설치 CD넣고 부팅후 업그레이드 선택한후 Lilo 설정
          : 부분 수정
          :
          : 이정도가 전부였는데요... 결코 파티션 관련한 부분은 손을 덴적이 전혀 없는데
          :
          : 어떻게 된 영문인지 정말 모르겠습니다. 제가볼때 가장 가능성이 높은작업은
          :
          : 2번작업때 제가 타겟 device를 잘못설정해서 혹시 파티션이 전부 날아가버린게 아닌지...
          :
          : 하는 생각도 드는데...정말 모르겠습니다. 이유야 어떻게 되었던간에 지금은
          :
          : 복구가 정말 시급한 상황입니다. 이런식으로 파티션을 잃었다가 복구해보신
          :
          : 분이나.. 방법을 알고계신분 혹은 복구 Center를 이용해보신분 모두 리플좀
          :
          : 부탁드립니다. WD 80G에 C:는 어차피 3일이 멀다하고 재설치하는 부분이라서
          :
          : 아무 문제가 없지만 그때문에 기타 필요한 파일들을 전부다 D:에 넣어놓고 사용을
          :
          : 했던지라.... 내문서부터 시작해서 각종프로그램, 즐겨찾기... 제가 처음으로
          :
          : 프로그래밍했던 처녀작 소스들, 그동안 작업해온 홈페이지소스,각종강좌.... 암튼
          :
          : 제 20평생에서 반을넘게 함께한 컴퓨터 작업에대한것들이 고스라니..들어가있습니다.
          :
          : 이미 가지고 있는 하드는 두개다 완전 Reset하고 다시 설치할 마음은 먹은상태인데요
          :
          : 제가 그 data들만이라도 복구할수 있었으면 합니다... 도움부탁드립니다.
          :
          : (아래에 최근 2~3일간 올렸던 질문부분 첨부합니다. 참고가 되길 바랍니다.)
          :
          : Ps. 지금은 Rivival 3.4라는 Windows용 프로그램을 복구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
          : [ - 17일 아침에 올린 질문 - ]
          :
          : 흐음 배포판은 Linux Paran 7.1 이구요
          :
          : P3-800EB / 396RAM / hda : WD 80G hdb: Samsung 20G
          :
          : 입니다 파티션 상황이 좀 복잡한데요 (아닌가??)
          :
          : hda 80G는 - 16G/60G 둘다 NTFS로 Windows 2000 Server에서 사용하고 있습
          : 니다.
          :
          : hdb 20G는 10G는 FAT32(hdb1) 700M는 Linux Swap(hdb2) 나머지는
          :
          : Linux Native(hdb3)로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어재밤에 우여곡절
          :
          : 끝에결국 LILO를 성공적으로 설치했어 감격의 밤을 보내다가
          :
          : 제 비디오카드 (Radeon 7500)이 XFree86 4.01이상에서만 지원된다는걸알고
          :
          : XFree를 설치하다가 실수로 환경관련 설정을 전부 오버라이트 해버리는바람
          : 에
          :
          : 결국 다시 설치를 강행해서 오늘새벽에 설치를 완료했습니다.
          :
          : 다행이 XFree86은 잘 설치해서 X-Windows는 잘 실행이 되는데요...
          :
          : 오늘은 또 Lilo가 속을 썩이네요... 지금상화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을
          :
          : 드리겠습니다.
          :
          : 처음에는 LILO가 뜨지를 앓고 LIL_까지만 나오고 말길래 이쪽에 찾아보니
          :
          : MBR에 LILO가 설치되서 그렇다고하셔서 DOS로 부팅해서 fdisk/mbr 로
          :
          : 삭제를 했습니다. 그러고 나니까 정상적인 Wow Linux Grahpic LILO가
          :
          : 뜨더라구용... win/linux로 뜨기는 뜨는데... win을 누르면 다시
          :
          : 또 그 리로가 뜨고 뜨고 뜨고 뜨고 그런식으로 계속 루핑이되는데요
          :
          : (Linux부분은 잘 들어가져요 ㅠ ㅠ ) 어디가 잘못된건지 ㅠ ㅠ ...
          :
          : lilo.conf를 보여드리면 좋겠지만 ㅠ ㅠ ... 지금 Sub컴에 FDD가 없어서
          :
          : 엄두를 못내고 있습니다. 조만간에 게임방을가서라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
          : 다.
          :
          : 아마도 lilo.conf 부분이 잘못된거 같은데...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
          : [ - 18일 아침에 올린 질문 - ]
          :
          : 89933번: Win2K 부트방법 상실... LILO설정(lilo.conf첨부)
          :
          :
          : 글쓴이: Supermania 글쓴날: 2002-08-18 15:32:23 읽은수: 51 <+>
          :
          :
          : 흐음 배포판은 Linux Paran 7.1 이구요
          :
          : P3-800EB / 396RAM / hda : WD 80G hdb: Samsung 20G
          :
          : 입니다 파티션 상황이 좀 복잡한데요 (아닌가??)
          :
          : hda 80G는 - 16G/60G 둘다 NTFS로 Windows 2000 Server에서 사용하고 있습
          : 니다.
          :
          : hdb 20G는 10G는 FAT32(hdb1) 700M는 Linux Swap(hdb2) 나머지는
          :
          : Linux Native(hdb3)로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어재밤에 우여곡절
          :
          : 끝에결국 LILO를 성공적으로 설치했어 감격의 밤을 보내다가
          :
          : 제 비디오카드 (Radeon 7500)이 XFree86 4.01이상에서만 지원된다는걸알고
          :
          : XFree를 설치하다가 실수로 환경관련 설정을 전부 오버라이트 해버리는바람
          : 에
          :
          : 결국 다시 설치를 강행해서 오늘새벽에 설치를 완료했습니다.
          :
          : 다행이 XFree86은 잘 설치해서 X-Windows는 잘 실행이 되는데요...
          :
          : 오늘은 또 Lilo가 속을 썩이네요... 지금상화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을
          :
          : 드리겠습니다.
          :
          : 처음에는 LILO가 뜨지를 앓고 LIL_까지만 나오고 말길래 이쪽에 찾아보니
          :
          : MBR에 LILO가 설치되서 그렇다고하셔서 DOS로 부팅해서 fdisk/mbr 로
          :
          : 삭제를 했습니다. 그러고 나니까 정상적인 Wow Linux Grahpic LILO가
          :
          : 뜨더라구용... win/linux로 뜨기는 뜨는데... win을 누르면 다시
          :
          : 또 그 리로가 뜨고 뜨고 뜨고 뜨고 그런식으로 계속 루핑이되는데요
          :
          : (Linux부분은 잘 들어가져요 ㅠ ㅠ ) 어디가 잘못된건지 ㅠ ㅠ ...
          :
          : 아래도 질문을 올렸었는데요 지금 결국 게임방에 나왔습니다.
          :
          : Win2K쪽에 부트 MBR이 지워진거라면... 어떻게 복구해야할까요 ㅠ ㅠ
          :
          : 아래에 lilo.conf 파일 붙입니다. 봐주세용~
          :
          : boot=/dev/hdb3
          :
          : map=/boot/map
          :
          : install=/boot/boot.b
          :
          : lba32
          :
          : prompt
          :
          : timeout=50
          :
          : message=/boot/message
          :
          : default=win
          :
          :
          :
          : image=/boot/vmlinuz-2.4.2-3
          :
          : label=linux
          :
          : read-only
          :
          : root=/dev/hdb3
          :
          : append="hdd=ide-scsi"
          :
          :
          :
          : other=/dev/hda1
          :
          : optional
          :
          : label=win
          :
          :
          : PS linux에서 파일 저장해서 Notepad에서 읽으면 CR-LF 때문인지
          : 줄띄기가 안되는데요... 이거 수정하는 방법도 아시면 부탁드릴께요~

Linux]Red Hat RHEL4에 Oralcle 10g R2 설치, Intsall HOWTO




Linux]리눅스 여러문서에서 문자열 검색 팁 정리



글쓴이 : 슈퍼개발

이 글은 phpschool.com의 팁&테크에서 인용한 부분입니다.

아래 방법은 제가 리눅스 관리를 하는 분들에게 물어 물어 나름대로 정리 해 놓은 내용입니다.
아래 내용은 여러 파일에서 어떤 문자열이 포함된 파일들을 찾고자 하거나, 치환할때
유용한 팁니다. 저는 많이 도움이 되었는데,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을지 ...
틀린부분이나,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꼬릿말 남겨주세요.



문자열찾기 방법 1 - 영어만 주로 가능
# grep -rw "찾는문자열" ./

문자열찾기 방법 2 - 대/소문자 구분 안하고 검색
# grep -i -l "찾는문자열" * -r 2> /dev/null

문자열찾기 방법 3 - 한글, 영어 모두 가능
# find . -exec grep -l "찾는문자열" {} ; 2>/dev/null

문자열찾기 방법 4 - 한글,영어, 대소문자 안가리고 검색
# find . -exec grep -i -l "찾을문자열" {} ; 2>/dev/null

문자열찾은 후 치환
# find . -exec perl -pi -e 's/찾을문자열/바꿀문자열/g' {} ; 2>/dev/null

파일명 찾기
# find / -name 파일명 -type f

파일명 찾기(대소문자 구별없음)
# find / -iname 파일명 -type f

디렉토리 찾기
# find / -name 파일명 -type d

디렉토리 찾기(대소문자 구별없음)
# find / -iname 파일명 -type d

하위디렉토리 내.. 모든파일 찾기..
find . | xargs grep

Linux]iptables 사용법


출처 : http://www.gentoo.or.kr/wiki/moin.cgi/iptables


1 응용프로그램이름

1.1 소개

2.4 커널부터 포함된 방화벽 설정 유틸리티

1.2 관련 홈페이지

2 설치

2.1 Emerge

          # emerge net-firewall/iptables 
          
커널을 컴파일할 때 iptable 관련 기능을 설정해야 합니다.
Device Driver --> Networking Support --> Networking Support --> Networking Options --> Network packet filtering

2.2 USE 플래그

  • ipv6 : ipv6 를 지원

3 사용법/팁

기본적인 사용법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4 설정

4.1 부팅할 때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하기

rc-update add iptables default

4.2 설정한 내용 저장하기

iptables-save 명령을 사용하면 현재 설정된 내용을 표준출력으로 내보냅니다. 이걸 파일에 리다이렉트하면 저장할 수 있습니다.

4.3 저장한 내용 불러오기

iptables-save 로 저장한 파일로 iptables-restore 명령을 실행하면 저장했던 내용이 적용됩니다.

4.4 설정한 내용 다음 부팅할 때도 적용되도록 하기

자신에게 맞게 설정한 다음 /etc/init.d/iptables save 를 실행하면 됩니다.

5 설정예제

이건 위 링크에 있는 내용을 참고로 해서 제가 대충 만들어 본 것입니다.
             iptables -N block 

             iptables -A INPUT -j block 

             iptables -A FORWARD -j block 

             iptables -A block -m state --state RELATED,ESTABLISHED -j ACCEPT 

             iptables -A block -s localhost -d localhost -j ACCEPT 

             iptables -A block -j DROP 

             
          
iptables -A block -m state --state NEW -i ! ppp0 -j ACCEPT
저는 ppp를 쓰지 않으므로 제외하였습니다.
iptables -A block -s localhost -d localhost -j ACCEPT
내부적으로 오가는 패킷은 accept 합니다. 이걸 해주지 않으면 mplayer에서 동영상 재생이 안되더군요.
참고로 저는 p2p 나 메신저 등은 쓰지 않고 웹서핑만 합니다. 일단 현재로서는 아무문제가 없네요.

6 동작 확인

자신의 컴퓨터에 열린 포트를 검사해볼 수 있는 곳입니다. http://scan.sygate.com/ "block"이라고 나오는 것이 좋습니다.